자취는 자유롭고 간편한 생활이지만, 반대로 보면 일회용품에 의존하기 쉬운 구조입니다. 배달 음식, 플라스틱 용기, 간편 포장 식품 등은 편리하지만 많은 쓰레기를 만들어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취생도 실천할 수 있는 제로 웨이스트 생활 습관을 소개합니다. 공간이 작고 바쁜 라이프스타일 속에서도 충분히 가능한 실천법입니다.
1. 자취와 제로 웨이스트, 왜 어렵게 느껴질까?
1인 가구는 대량 구매가 어렵고, 가성비를 따지다 보면 대부분 포장된 제품을 선택하게 됩니다. 주방 공간이 좁아 다회용품을 보관하기 어렵고, 세척도 번거롭다는 점이 진입 장벽이 됩니다.
하지만 모든 걸 완벽하게 바꾸려 하기보다, 하나씩 바꿔나가는 습관으로 접근하면 자연스럽게 실천이 가능해집니다.
2. 텀블러와 장바구니는 필수템
외출 시 텀블러와 장바구니를 기본으로 챙겨보세요. 커피 한 잔, 편의점 음료도 일회용 컵 대신 텀블러를 사용하면 하루 한 개 이상의 쓰레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장바구니는 접이식으로 작게 만들어진 제품을 고르면 가방 안에 항상 휴대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3. 배달 음식 줄이기, 포장 없는 식사 도전
자취하면 자연스럽게 배달음식에 의존하게 됩니다. 하지만 배달 음식은 플라스틱 용기, 비닐, 수저 등 다량의 쓰레기를 발생시킵니다.
가능하다면 근처 식당에 직접 방문해 용기에 포장해오거나 주 2~3회는 집밥을 해먹는 루틴을 만들면 효과가 좋습니다.
4. 고체 세제와 고체 샴푸로 욕실 바꾸기
자취방 욕실은 작고 수납공간이 적어, 고체 제품이 오히려 더 실용적입니다. 고체 샴푸, 비누, 세제 등은 플라스틱 없이 사용 가능하며 오래 쓸 수 있습니다.
작은 틴케이스나 비누망을 활용해 보관하면 깔끔하고 공간도 절약됩니다.
5. 장보기도 제로 웨이스트하게
대형 마트보다 전통시장이나 리필숍을 이용하면 불필요한 포장을 줄일 수 있습니다. 쌀, 잡곡, 과일, 채소 등은 직접 용기나 주머니에 담아 구입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자취생은 식재료를 많이 사지 않기 때문에, 포장 없는 소량 구매가 오히려 더 실용적입니다.
6. 자취방 분리배출 시스템 만들기
쓰레기 분리배출이 어려운 이유는 공간 부족과 분류 기준 모호함 때문입니다. 작은 박스 2~3개만 준비해도 종이, 플라스틱, 일반 쓰레기를 구분해 버릴 수 있습니다.
캔, 병, 플라스틱은 물로 헹궈 말려서 버리면 악취도 줄고, 재활용률도 높아집니다.
7. 실천을 도와줄 앱과 커뮤니티 활용
자취하면서 제로 웨이스트를 꾸준히 실천하려면 동기부여가 필요합니다. 제로 웨이스트 실천을 기록할 수 있는 앱이나 SNS 커뮤니티를 활용해보세요.
예: ‘제로웨이스트맵’, ‘제로서울’, ‘쓰담서울’ 같은 지역 기반 커뮤니티도 정보 교류와 동기부여에 큰 도움이 됩니다.
자취도, 제로 웨이스트도 천천히
자취하면서 모든 것을 한 번에 바꾸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오늘 한 가지 바꿨다면, 그것이 제로 웨이스트의 시작입니다.
환경을 위한 실천이 곧 나를 위한 선택이 되도록, 자취 공간에서도 작은 변화부터 만들어보세요.
0 댓글
📌 자유롭게 질문해주세요. 단, 광고성 댓글 및 비방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