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칫솔부터 시작하는 욕실 제로 웨이스트 가이드

욕실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은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이 사용되는 공간 중 하나입니다. 칫솔, 치약 튜브, 샴푸 용기, 면도기 등 거의 모든 욕실 용품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죠.

이번 글에서는 친환경 칫솔을 중심으로 한 욕실 제로 웨이스트 실천법을 소개합니다.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는 작은 변화로, 지속 가능한 생활을 만들어보세요.


1. 왜 욕실에서 제로 웨이스트를 시작해야 할까요?

욕실은 비교적 작은 공간이지만, 생활 쓰레기의 상당 부분이 이곳에서 발생합니다. 특히 칫솔, 면봉, 화장지, 용기류는 교체 주기가 짧아 매년 수억 개의 플라스틱 쓰레기를 만들어냅니다.

게다가 욕실 쓰레기의 상당수는 재활용이 어렵고, 오염된 상태로 버려지기 때문에 소각되거나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이유에서 많은 사람들이 욕실을 제로 웨이스트의 시작점으로 삼고 있습니다.


2. 친환경 칫솔, 어떤 제품이 좋은가요?

가장 대표적인 친환경 칫솔은 대나무 칫솔입니다. 손잡이는 생분해가 가능하고, 대부분의 제품이 무플라스틱 포장으로 제공됩니다.

대나무 칫솔은 내구성도 좋고 디자인도 심플해서 사용자 만족도도 높습니다. 칫솔모까지 생분해 가능한 제품을 선택하면 가장 이상적이며, 최근에는 식물성 나일론을 사용하는 브랜드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3. 치약도 제로 웨이스트가 가능할까요?

일반 치약 튜브는 복합재질이라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고체 치약, 치약 정제(탭), 유리병 치약 등이 있습니다.

고체 치약은 비누처럼 사용하고, 치약 탭은 입에 넣고 씹은 후 칫솔질을 하면 거품이 납니다. 이런 제품은 플라스틱 튜브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으며, 사용도 간편하고 위생적입니다.


4. 샴푸와 바디워시는 어떻게 바꾸면 좋을까요?

욕실에서 사용하는 샴푸, 바디워시, 린스는 플라스틱 용기가 대부분입니다. 이를 줄이기 위해 샴푸바, 바디워시 바 같은 고체 제품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런 제품은 포장도 종이나 생분해 포장으로 제공되며, 내용물의 낭비가 적고, 여행 시 휴대도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샴푸바는 두피 타입에 맞춰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어 선택 폭도 넓습니다.


5. 면도기와 면봉도 바꿀 수 있을까요?

일회용 면도기는 금방 무뎌지고 플라스틱 쓰레기로 직행하지만, 제로 웨이스트 실천자들은 안전면도기(세이프티 레이저)를 사용합니다.

금속으로 되어 있고, 날만 교체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면봉 역시 종이봉면봉이나 대나무 면봉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일부는 재사용 가능한 실리콘 면봉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6. 제로 웨이스트 욕실 정리 팁

욕실 제로 웨이스트를 실천하려면, 제품을 모두 한꺼번에 바꾸기보다는 기존 제품을 다 쓰고 천천히 교체하는 방식이 좋습니다.

우선순위를 정하고, 소비보다는 ‘대체’의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지속 가능성에 더 적합합니다. 욕실 내에 작은 분리수거함을 비치하는 것도 좋은 습관입니다.


7. 욕실 제로 웨이스트 실천을 돕는 브랜드 추천

국내외에는 다양한 제로 웨이스트 브랜드들이 욕실용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디어에코, 포레스트픽, 알맹상점 등이 있고, 해외 브랜드로는 Etee, Brush with Bamboo, Ethique 등이 유명합니다.

브랜드 선택 시에는 무플라스틱 포장 여부, 생분해 가능 소재, 동물실험 여부 등을 기준으로 고르면 좋습니다. 브랜드의 윤리적 가치까지 고려하는 소비는 제로 웨이스트 실천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욕실부터 시작하는 지속 가능한 변화

제로 웨이스트는 완벽한 실천보다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조금씩 나아가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욕실은 작은 공간이지만 변화의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칫솔 하나를 바꾸는 것부터, 플라스틱 없는 욕실을 만드는 그날까지. 오늘부터 욕실 속 작은 변화에 동참해보세요. 당신의 실천이 지구의 내일을 바꿉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신고하기

프로필